반응형

전체 글 130

[Linux] crontab 주기 설정

1. 크론탭(Crontab) - 리눅스에서 특정한 작업을 스케쥴링 하가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특정 시간과 반복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2. 명령어 (1) crontab -e 크론탭에 작업을 등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로 편집기와 비슷한 화면이 나타나며 작업을 등록할 수 있다. (2) crontab -l 크론탭에 등록된 작업들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3. 크론탭 구성 - 크론탭은 다섯개의 값을 구분해서 설정한다. ex) 분 시 일 월 요일 >>>>>>>> * * * * * 실행 Shell 파일 경로 및 파일이름 4. 크론탭 예시 (1) 분 : 0 ~ 59 (2) 시 : 0 ~ 23 (3) 일 : 1 ~ 31 (4) 월 : 1 ~ 12 (5) 요일 : 0 ~ 7 0/7 일 / 1 월 / 2 화요..

Server 2022.11.09

[Linux] chmod 권한설정

리눅스 파일 권한은 크게 세 분류로 나뉩니다. 읽기 R = Read 쓰기 W = Write 실행 X = Execute 권한 분리 이유 : 시스템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파일의 내용이 변경되거나 실수로 파일이 삭제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권한을 개별적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이러한 권한을 변경할 수 있게 해주는 명령어가 chmod 입니다. 1. 사용방법 chmod 000 대상파일 : 모든 권한을 제거한다. chmod 777 대상파일 : 모든 권한을 부여한다.

Server 2022.11.09

[Jenkins] 시작하기

1. Jenkins 설치 후 서버 접근을 하면 초기 나타나는 화면이다. 2. 비밀번호를 확인한다. 1) 명령어를 이용하여 initialAdminPassword 파일 안의 내용을 직접 확인 sudo cat /var/lib/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 2) initialAdminPassword 파일의 위치까지 접근하여 편집기를 이용해 내용 확인 cd /var/lib/jenkins/secrets vim initialAdminPassword 3. 비밀번호 입력 후 화면 1) jenkins 플러그인 설치 2) jenkins 사용 계정 정보 입력 3) jenkins URL 정보 입력 및 수정 - 초기 입력된 URL 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완료

Jenkins 2022.11.09

[Jenkins] 설치하기

1. JDK 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 설치가 되어 있다면 진행하고 되어 있지 않다면 우선 JDK를 설치한 뒤에 진행한다. 2. Jenkins 저장소의 Key 다운로드 root@localhost:~# wget -q -O - https://pkg.jenkins.io/debian/jenkins-ci.org.key | sudo apt-key add - 3. sources.list.d. 에 jenkins.list 추가 root@localhost:~# echo deb http://pkg.jenkins.io/debian-stable binary/ | sudo tee /etc/apt/sources.list.d/jenkins.list 4. Key 등록 root@localhost:~# sudo apt-key adv ..

Jenkins 2022.11.09

[MYBATIS] 반복문

사용 의도 : Map 안에 String 배열값을 저장하여 xml 에서 IN 함수를 쓰기 위해 반복문을 사용했습니다. ex) -Controller ex) -Xml collection : 전달받은 값 item : alias index : 번호(0부터 증가) open : 구문이 시작될 때 쓰여질 문자 close : 구문이 종료될 때 쓰여질 문자 separator : 배열값 사이에 쓰여질 문자 => 구문의 표현 방식의 오류로 인해 입력값의 출력과 저장이 잘 되어도 에러가 발생하곤 합니다. 그래서 사용하려는 구문의 표현방식을 정확히 알고 사용해야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Eclipse 2021.06.23

[MYSQL] LIMIT 함수

MYSQL 함수 중에서 LIMIT 함수의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LIMIT 함수는 결과값의 로우를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USER 테이블이 존재한다면 SELECT * FROM USER LIMIT [범위] 의 구문으로 결과값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숫자의 시작점은 0부터입니다. 위의 구문과 같이 쓸 경우 USER 테이블의 첫 번째 값부터 범위의 갯수만큼 결과가 출력됩니다. SELECT * FROM USER LIMIT 3 이면 첫 번째 결과부터 세 번째 결과까지 출력됩니다. 범위엔 숫자 하나만 쓸 수도 있지만 말 그대로 범위를 정할 수도 있습니다. SELECT * FROM USER LIMIT 0,3 이란 구문을 실행하면 첫 번째 값부터 뒤에 쓴 숫자만큼의 결과값이 출력됩니다. 해당 함수는 대부..

DB/MYSQL 2021.06.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