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션 4

[RockyLinux 8.9] apache + tomcat 로드밸런싱

설정1. workers.properties  vi /etc/httpd/conf/workers.properties   2. 00-base.conf vi /etc/httpd/conf.modules.d/00-base.conf  3. apache 재기동 systemctl restart httpd- 가끔 설정을 수정하다 보면 재시작할 때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는 대부분 설정 파일에 작성된 텍스트에 문제가 있다. 오타는 없는지 잘 확인하면 종종 해결되곤 한다. 자세한 내용은 에러가 발생했을 때 상태 확인(systemctl status httpd)을 통해 알 수 있다.   3. server.xml (WAS)  서버 도메인을 통해 WAS 로 접근해서 로드밸런싱이 잘 이루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 vi /..

WEB . WAS 2024.11.29

[Tomcat] 세션클러스터링

■ 세션 클러스터링 - WAS 구성이 2대 이상일 때 동일한 세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 톰캣 서버의 간단한 설정으로 세션 정보를 동기화 할 수 있다. 1) server.xml 추가 - 나는 밑으로 위치시켰다.Tomcat 1Cluster channelSendOptions="8" className="org.apache.catalina.ha.tcp.SimpleTcpCluster">Manager className="org.apache.catalina.ha.session.DeltaManager" expireSessionsOnShutdown="false" notifyListenersOnReplication="true"/> Channel className="org.apache.catalina.tribes...

WEB . WAS 2023.05.09

[Cookie] 기본정보

■ 쿠키란? -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request 요청을 하면 웹 서버는 결과물을 담아서 리턴한다. 이 때 쿠키가 담긴다. 1) 쿠키는 response header 담긴다. - 웹 브라우저는 리턴 받은 쿠키를 로컬에 저장해놓고 웹 서버에 요청을 할 때마다 쿠키 정보를 담아서 보낸다. ■ 쿠키의 종류 1. 세션 쿠키(Session Cookie) - 세션이 유지되는 동안만 브라우저에 저장, 브라우저가 종료되는 즉시 사라진다. 2. 영구적 쿠키(Permanent Cookie) - 유효 시간을 지정해서 유효시간이 만료되기 전까지 저장 예) 장바구니, ID 기억하기 기능 등

지식 2023.02.13

[SESSION] 기본 정보

SESSION ■ 기본 동작 개념 - 세션은 서버에서 생성되는 기본 객체이다. 1.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자원 요청(서버는 브라우저 식별을 위해 세션의 기본 객체를 생성한다.) → 기본 객체엔 Session ID 값이 포함된다. 2. 서버는 생성된 세션 객체를 쿠키에 담아서 Response 한다. 3. 브라우저는 쿠키를 로컬에 저장한다. 4.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요청할 때마다 쿠키 정보를 전달하고 서버는 쿠키 안에 세션값을 읽어 브라우저를 식별한다. → 세션 객체 안에 Session ID 값으로 해당 브라우저를 식별한다. ■ 세션 종료 - 세션은 브라우저를 종료시켜 서버에 종료메시지가 전달되거나 session.invalidate()를 호출하면 세션 객체가 사라진다. → 이후 서버에서 브라우저를 식별하지 못..

지식 2023.02.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