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28

[COMPILE] Eclipse JAVA Compile Version, 자바 버전 변경

■ 자바 컴파일 버전을 변경할 일이 있었다. 이클립스에 Build Path 부분을 수정했다. 그러나 class 파일이 기존 버전으로 컴파일 되고 있었다. 빌드 패스 부분 외에 수정할 부분이 있어 기록한다. 버전 정보 확인 : javap -verbose xxx.class | find "version" Java 6 50 Java 7 51 Java8 52 Java9 53 Java10 54 Java11 55 1 씩 증가 1. Window - Preferences 2. Java - Compiler(compliance level) 3. 프로젝트 설정(프로젝트 우클릭 - Properties) 4. Java Compiler 5. Java Build Path

Eclipse 2023.12.18

[디버깅] 개발자모드 Network

■ 통신 테스트를 진행하다보면 네트워크의 흐름을 봐야 할 일들이 있다. 통신 URL 이 원하는 방향으로 잘 향하고 있는지 중간에 값은 잘 들어가 있는지 어느 페이지가 문제가 되는지 이러한 것들을 네트워크에서 알 수 있는 정보들이 많이 있다. 다른 디버깅 모드를 통해서 확인할 수도 있고 콘솔이나 서버 오류 들로도 알 수도 있지만 통신의 흐름을 직관적으로 보기에는 Network 탭을 참고하는게 도움이 될 때가 있다. 개발자 모드 - 네트워크 탭 확인 방법(크롬) 1) F12(개발자모드) - Network 탭 click 2) 마우스 우클릭 - 검사 - Network 탭 click 네트워크는 페이지가 이동될 때 많은 정보들이 나타나게 된다. 아래 사진은 구글 메인화면에서 네이버로 이동할 때의 모습이다. 도메인으..

지식 2023.12.11

[Linux] 권한관리

■ 리눅스의 기본 권한 권한 관리는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로 이루어져있다. 각각 읽기(r), 쓰기(w), 실행(x) 권한을 가진다. 예를 들어 rwx의 권한을 가지고 있으면 읽기, 쓰기, 실행이 모두 가능하고 rw- 로 표시되어 있다면 읽기와 쓰기만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ls, ls -all 과 같은 명령어로 파일의 정보를 확인했을 때 rwxrw-rw- 의 권한으로 조회가 된다면 제일 왼쪽은 파일을 만든 소유자로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이 있고 그 다음은 같은 그룹의 사용자로 읽고 쓸 수 있다는 의미이다. 마지막으로 다른 사용자의 경우도 읽고 쓸 수 있는 권한을 가졌음을 의미한다. 파일을 생성할 때마다 이러한 권한을 매번 부여한다면 사용자의 불편함이 높아질 것이다. 그래서 기본권한(Defau..

Server 2023.12.04

[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이란 ? - 네트워크상에서 조직이나 개인의 정보 또는 파일이나 디바이스 정보 등 필요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이다. - LDAP 이전에 DAP(Directory Access Protocol) 프로토콜이 존재했다. OSI의 모든 레이어를 지원하나 많은 리소스를 필요로 하는 프로토콜이어서 TCP/IP 위에서 운용되고 DAP를 경량화해 네트워크 부담을 줄이도록 LDAP이 설계됐다. - 디렉터리는 논리, 계급 방식 속에서 조직화된, 비슷한 특성을 가진 객체들의 모임이다. - 디렉토리 형태로 정보가 제공된다. 디렉토리는 계층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 트리 구조로 데이터를 담고 저장/공유할 어떠한 데이터든..

지식 2023.11.30

[인증] GS 인증, CC 인증

[ GS 인증 ] ■ GS 인증제도란 - 고객이 사용하게 될 실제 운영환경의 테스트베드를 갖추고 철저한 제품(프로그램, 사용자 메뉴얼) 시험을 통해 품질을 인증하는 제도 - GS 인증을 획득한 제품은 소프트웨어시험인증연구소의 축적된 테스팅 기법 및 평가항목을 활용하여 소프트웨어제품 특성에 맞게 시험하였으므로 제품 품질이 보장된다. ■ 시험방법 - SO/IEC 25023, 25041, 25051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기능적합성, 성능효율성, 사용성, 신뢰성, 보안성 등에 대한 시험 수행 - GS시험의 보안성 시험은 시험대상 제품의 보안성 품질개선을 위해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품질 시험으로, 다른 목적으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보안약점 진단, 정보보호 관련 인증(CC인증) 등을 대체할 수 없다. ■ 효과 1) 품..

지식 2023.11.13

[Linux] 디렉토리 구조

■ 디렉토리(Directory) 구조 - 운영체제의(OS : Operating System)의 파일 관리 구조인 디렉토리는 사용자가 생성해서 파일을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다. 리눅스를 설치하면 기본으로 생성되는 디렉토리들이 있으며 해당 디렉토리들은 쓰임이 정해져 있다. 모든 디렉토리는 루트(Root ./) 디렉토리를 기반으로 bin, boot, dev, etc, home, lib 등등 여러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 디렉토리의 종류 - 기본 디렉토리 1) bin : Common program, 기본적인 실행파일을 가지고 있다. 2) boot : Kernel and other boot files, 리눅스 부트 프로그램인 LILO 파일을 가지고 있다. 3) dev : Device files, 장치 파일 모음 ..

지식 2023.11.13

[ORACLE] 컬럼 DEFAULT 값 수정(타입), SYSDATE 날짜 변경

■ Default 값이 설정되지 않은 컬럼에 기본값을 설정하기 위해서 쿼리를 돌렸다. 그런데 아무리 해도 실행되지 않고 에러 메세지만 내뱉었다. 그래서 무엇이 문제일까 찾아보다가 결국엔 설마하면서 수정하니 되었다. 작은 부분도 놓치지 않아야 하는데 잊지 않을 것 같다. 최초 작성 쿼리 ALTER TABLE 테이블 MODIFY(컬럼 VARCHAR2 DEFAULT TO_CHAR(SYSDATE,'YYYYMMDD')); 발생 에러 ============================================= ORA-00906: 누락된 좌괄호 00906. 00000 - "missing left parenthesis" ============================================= 수정 쿼리 ..

DB/ORACLE 2023.11.09

[Developer] Oracle SQL Developer, 자동정렬(Ctrl + F7)

■ 오랜만에 쿼리문을 실행하다가 한 줄로 정리되어 있는 쿼리문 때문에 정렬 기능이 필요했다. 대부분이 정렬이 되어 있거나 내가 들여쓰기로 혼자 만들다 보니 자동정렬 기능을 사용할 일이 크게 없어서 쓰지 않았는데 그래서 잊고 있었다. 기억하기 위해서 단축키 글을 쓴다. 아래의 쿼리가 있다고 생각해보자. 이렇게 짧은 경우에는 한눈에 보기 쉽기 때문에 정렬기능이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보통 시스템에서 쓰는 쿼리들은 상당히 길기 때문에 가독성이 떨어진다. 그래서 필요한 기능이 정렬기능이다. 하지만 해당 기능 또한 완벽하지 않아서 쿼리를 보기 좋게 바꾸기 위해선 일정 부분의 수작업이 필요하다. 그래도 일정 형식을 맞춰준다는 점에서 정렬 기능은 쓸만한 기능이다. 정렬 기능을 쓰게 되면 아래처럼 쿼리가 변경된다. 자..

지식 2023.11.09

[WAS] JSESSIONID

■ JSESSIONID 란? 서버에서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 발급하는 키값이다. JSESSIONID는 서버에서 세션 검증을 하는데에 쓰인다. → 브라우저 접근시 서버에서 발급한다. 세션은 서버에 저장되고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는 JSESSIONID 값을 쿠키에 담아 정보를 가지게 된다. 이 때 서버는 sessionID 값을 이용하여 브라우저에 접근한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  서버는 다른데 동일한 도메인을 쓸 경우 JSESSION의 값이 통신이 일어날 때마다 계속 변경된다. 새로운 값으로 계속 덮어써지는데 이에 따른 해결 방법은 WAS 설정 중 JSESSIONID 변경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 톰캣의 경우 Server.xml 의 Context 부분에서   sessionCookieName="수정 JSESS..

WEB . WAS 2023.11.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