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5

[HTTP] OPTIONS 메서드

■ 서버에서 작업을 진행하다가 WEB 에서 통신이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동일한 구성의 서버들로 WEB과 WAS를 구성했다고 전달받았는데 테스트 환경에서 통신이 안됐다. 그래서 이유를 찾아보는데 소스 문제는 없었기에 찾기 어려웠다. 운영과 테스트 동일한 소스를 업로드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프라쪽 문제를 더욱 생각하게 됐고 이전 사업에서 HTTP 메서드의 허용 유무로 500 Error가 발생했던 일이 기억이 났다. 그래서 해당 부분 확인을 요청했다. 결과는 대기중이다. 발생한 이유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다른 도메인으로 구분되어 있기에 CORS 관련 설정이 필요했고 그 중 하나가 Access-Control-Allow-Origin 헤더 속성에 OPTIONS 메서드를 허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OPTIONS ■..

지식 2024.02.16

[방문통계] 2024.01 블로그 통계 기록

월에 방문자수가 10도 넘지 못한 달이 많았는데 작년 초를 시작으로 조금씩 사람들이 방문해주셨다. 글을 꾸준히 올려보고자 했지만 매번 실패하다가 공부를 기록하는 셈 치고 글을 쓰곤 했다. 어려운 내용을 혼자 고민하고 공부해서 쓴 글은 아니지만 그래도 내가 쓴 글 중 어느 글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됐을 거라 생각한다. 그게 기분이 좋다. 어느새 누적 방문수가 10000을 넘었다. 신기하다. 방문자수가 숫자로 늘어가는게 보이게 된 후부터 어떤 소재를 어떻게 글로 써야할지 고민이 생기기 시작했다. 앞으로 더 사람들이 찾을 수 있는 사이트가 되어야 겠다. 꾸준히 하면 어떤 결과로 나타날지 궁금하다. 화이팅

기록 2024.01.29

[JAVA] ERROR, No such algorithm

위와 같은 오류는 거의 발생하는 경우가 없을 것 같다. jar 파일을 이용하거나 class 파일을 이용할 때 특정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함수를 호출하는 경우 알고리즘을 제공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에러이다. 나의 경우에도 로컬에서는 문제가 없었으나 설치 작업을 진행하는 와중에 발생했다.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목록에서 확인해도 값이 들어있었는데 이해가 되지 않았다. 프로세스를 변경하거나 JAR 파일을 수정한 것도 아니었는데.. 알고보니 서버 다른 디렉토리 내에 과거 버전의 JAR 파일이 존재해서 새로 위치한 JAR 파일을 로드시키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였다. 다른 서버에서는 JAR 파일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과거 버전의 class 파일들이 특정 경로에 위치하고 있어 위의 에러가 발생했었다. 처음 보는 에러가 발생해..

JAVA 2024.01.29

[Server] "prohibited command." command ERROR

■ 신규로 작업해야 하는 서버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는데 처음 보는 오류가 발생했다. 해당 에러 메세지가 서버 설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건지 아니면 특정 프로그램이 있어 에러 메세지를 내뱉는건지는 정확히 모르겠다. 하지만 해당 오류 메세지는 허용 명령어 외의 명령어를 서버에서 실행시킬 때 발생했으며 해결은 실행해야 하는 명령어를 서버에 설치하거나 필터기능을 비활성화 하는 것이다. 나는 기능 비활성화를 통해서 작업을 이어갈 수 있었다. "is a rohibited command."

Server 2024.01.16

[ORACLE] ORA-01031: 권한이 불충분합니다.

해당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오류메세지 그대로 권한을 부여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데이터 베이스 계정을 생성할 때 자신의 시스템이 아닌 이상 계정을 부여받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계정에 권한 부여 요청을 해도 막상 하면 되지 않을 때가 있다. 담당자가 계정에 권한을 부여했다고 하더라도 해당 오류 메세지가 발생했다면 담당자한테 확인을 요청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오류가 발생하는 메세지와 간단한 생성,조회 등의 쿼리를 사진으로 보내는게 좋다. 실제 확인시켜 주는게 말로 요청하는 것보다 빠르다. 이 에러가 발생했다면 이 후 ORA-01950 에러도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데이터를 Insert 하려 하면 발생하는데 유저에 권한을 부여하지 않아 할당영역이 정해지지 않아 데이터를 삽입할 수 없는 것이다. 해당..

DB/ORACLE 2024.01.11

[JAVA] java 설치 위치

■ 자바 실행 명령어로 작업할 일이 생겼는데 자바 실제 위치를 알아내는 명령어가 갑자기 기억이 안났다. which java 만 생각나고... 자주 안써서 까먹었다. 간단한 명령어이지만 거의 쓸 일이 없어서 그런지 오랜만에 명령어를 입력하려니까 생각이 나질 않아 글을 쓴다. which - 실행 파일의 위치를 찾을 수 있는 명령어 보통 which java 를 많이 썼다. 그런데 실제 자바의 원본 파일 위치를 알기 위해선 다른 명령어가 필요하다. 그럴땐 readlink - 심볼릭 링크가 연결되어 있는 파일의 경로 찾을 수 있는 명령어 readlink -f /usr/bin/javac 명령어를 통해 자바 파일 위치를 찾을 수 있었다.

JAVA 2024.01.11

[SVN] Window SVN Server add Users

■ SVN 서버를 윈도우 환경에 구축해서 현재 사용 중에 있다. 최근 유저 정보를 추가하다가 접속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했었기에 기록한다. 원인은 권한 부여를 하지 않아서 였다. 권한 부여를 했다고 생각하고 확인하지 않은 것이 실수였다. 했다고 생각하면 확인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문제인 것 같다. 되어야 하는 부분이 안될 때는 무조건 실수를 의심해보자. 1. SVN Server 접속 2. 사용자 계정 생성 (1) (2) 3. 권한 부여하기 (1) (2)

SVN 2023.12.29

[COMPILE] Eclipse JAVA Compile Version, 자바 버전 변경

■ 자바 컴파일 버전을 변경할 일이 있었다. 이클립스에 Build Path 부분을 수정했다. 그러나 class 파일이 기존 버전으로 컴파일 되고 있었다. 빌드 패스 부분 외에 수정할 부분이 있어 기록한다. 버전 정보 확인 : javap -verbose xxx.class | find "version" Java 6 50 Java 7 51 Java8 52 Java9 53 Java10 54 Java11 55 1 씩 증가 1. Window - Preferences 2. Java - Compiler(compliance level) 3. 프로젝트 설정(프로젝트 우클릭 - Properties) 4. Java Compiler 5. Java Build Path

Eclipse 2023.12.18

[디버깅] 개발자모드 Network

■ 통신 테스트를 진행하다보면 네트워크의 흐름을 봐야 할 일들이 있다. 통신 URL 이 원하는 방향으로 잘 향하고 있는지 중간에 값은 잘 들어가 있는지 어느 페이지가 문제가 되는지 이러한 것들을 네트워크에서 알 수 있는 정보들이 많이 있다. 다른 디버깅 모드를 통해서 확인할 수도 있고 콘솔이나 서버 오류 들로도 알 수도 있지만 통신의 흐름을 직관적으로 보기에는 Network 탭을 참고하는게 도움이 될 때가 있다. 개발자 모드 - 네트워크 탭 확인 방법(크롬) 1) F12(개발자모드) - Network 탭 click 2) 마우스 우클릭 - 검사 - Network 탭 click 네트워크는 페이지가 이동될 때 많은 정보들이 나타나게 된다. 아래 사진은 구글 메인화면에서 네이버로 이동할 때의 모습이다. 도메인으..

지식 2023.12.11

[Linux] 권한관리

■ 리눅스의 기본 권한 권한 관리는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로 이루어져있다. 각각 읽기(r), 쓰기(w), 실행(x) 권한을 가진다. 예를 들어 rwx의 권한을 가지고 있으면 읽기, 쓰기, 실행이 모두 가능하고 rw- 로 표시되어 있다면 읽기와 쓰기만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ls, ls -all 과 같은 명령어로 파일의 정보를 확인했을 때 rwxrw-rw- 의 권한으로 조회가 된다면 제일 왼쪽은 파일을 만든 소유자로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이 있고 그 다음은 같은 그룹의 사용자로 읽고 쓸 수 있다는 의미이다. 마지막으로 다른 사용자의 경우도 읽고 쓸 수 있는 권한을 가졌음을 의미한다. 파일을 생성할 때마다 이러한 권한을 매번 부여한다면 사용자의 불편함이 높아질 것이다. 그래서 기본권한(Defau..

Server 2023.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