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5

[Linux] 가상IP 등록하기

VIP(Virtual IP) 등록하기 1) VIP 등록하기 명령어 : ifconfig 2) 확인하기 명령어 : ifconfig (해당 장치에 가상IP 주소가 추가되었음을 확인한다.) ※ 이렇게만 등록해놓으면 재부팅시 해당 설정은 초기화된다. 그래서 시스템에 등록을 해야한다. 대부분의 글들이 /etc/sysconfig/network-scripts 경로에 설정파일이 있다고 하는데 나는 없다. sysconfig 경로부터 아예 없다. 어떤 글은 /etc/network/interface 안에 있다고도 하는데 interface가 나는 없다. 후...못찾겠다. 이건 혹시 아시는 분 있으시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그래서 나는 포기

Server 2022.12.22

[Linux] IP 등록

IP 등록하기 ifconfig, ip a, ip addr 등의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해당 PC의 IP가 나오지 않는 경우        →  IP를 등록해주면 IP 정보가 나타나게 된다. 1) 경로 이동 : /etc/netplan 2) 설정 파일 열기   파일명 : 01-network-manager-all.yaml ( 컴퓨터마다 설정 파일명이 다를 수 있다. )3) 고정IP 정보 설정하기 # Let NetworkManager manage all devices on this system network:   version: 2   renderer: NetworkManager   ethernets:       [장치명]:           addresses:           - [ 해당 PC IP ]/24  ..

Server 2022.12.22

[Linux] 서버 이중화

서버 이중화 란 서비스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WEB,WAS,DB 등 서버를 이중 또는 이중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뜻한다. 이중화의 구성은 크게 Active - Active / Active - Standby 나눌 수 있다. Active - Active 서버가 모두 활성화된 방식으로 L4 스위치 또는 로드밸런싱 등의 기능을 통해 작업을 분산시켜 나누어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식이다. 특정 서버 장애시 나머지 서버가 운용되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 서비스의 부하를 분산시키는 목적으로 많이 활용된다. Active - Standby 서버를 모두 활성화 시키지 않고 메인 서버만 운용하며 나머지 서버는 대기하는 구성이다. 메인서버 장애시 나머지 서 버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동..

Server 2022.12.21

[Jenkins] CD 구축하기

CD 구축은 쉘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실행하는 것으로 구축했다. Jenkins 빌드를 통해 배포 후 스크립트 실행문을 작성해 작업을 진행했다. 1. 프로젝트에 resource-packaging 을 통해 WEB / WAS 용 zip파일과 war파일이 구분되서 빌드된다. - Jenkins를 빌드하면 zip파일과 war파일이 생성되는 위치를 알 수 있다. - repositoryPath 에 해당 디렉토리 위치를 변수로 지정했다. 2. 쉘 스크립트를 작성한다.(스크립트 작업 순서) 1) 내가 구성한 서버환경은 도커환경으로 일단 docker-compose 파일 위치로 가서 WEB / WAS / DB 를 실행 중지한다. 2) war 파일이 생성된 위치로 이동하여 파일 권한을 변경해준다. - 변경하지 않으면 파일을 이동..

Jenkins 2022.12.14

[Jenkins] CI 구축하기

1. Jenkins 에 접속한다. 2. 새로운 Item 을 구성한다. 3. 관리할 아이템의 이름을 입력한다. - Freestyle project 선택 4. CI를 구축할 형상관리 서비스를 선택한다. 5. SVN을 선택하는 경우 1) svn 주소를 입력한다. 2) Add 버튼을 누르고 Jenkins를 선택한 뒤 svn 아이디를 등록한다. 6. 정보 등록 완료 후 지금 빌드를 클릭한다. 7. 작업 결과를 확인한다. ※ 메이븐 빌드를 하면 해당 경로에 war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 소스 코드 관리에 SVN 이 없을 경우 (플러그인을 다운받아야 한다.) 1) Jenkins 관리에서 플러그인 관리를 클릭한다. 2) SVN을 검색해서 다운로드한다.

Jenkins 2022.12.08

[Jenkins] CI / CD

1. CI / CD 는 무엇인가? CI( Continous Integration ) 는 지속적 통합의 뜻을 가지고 있다. - 개발자들이 프로젝트에 적용한 변경 사항들을 레파지토리에 자동으로 업로드 하는 것을 뜻한다.(형상관리) CD( Continous Delivery ) 는 지속적 서비스 제공 및 배포의 뜻을 가지고 있다. - 개발자들이 프로젝트에 적용한 사항들을 서비스 화면까지 자동으로 배포하는 것을 뜻한다.

Jenkins 2022.12.05

[Linux] PORT 대역대

* 포트(PORT)란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단위이다. 0 번 부터 65535 번 까지 총 655356 개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포트 번호는 크게 세 분류로 나눌 수 있다. 1. 0번 ~ 1023번 : 잘 알려진 포트 (well-known port) 1)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포트를 사용하려면 루트 권한이 있어야 한다. ex) 22(SSH), 3306(MySQL) 등 2. 1024번 ~ 49151번 : 등록된 포트 (registered port) 1) IANA에서 관리하는 포트 3. 49152번 ~ 65535번 : 동적 포트 (dynamic port) 1) 특정 용도가 지정되어 있지 않고 어느 프로그램에서나 사용가능한 포트

Server 2022.12.02

[SVN] 저장소 추가하기

■ 서버에 SVN 저장소를 설치하기 위해서 SVN의 서버 위치를 파악한 후 생성할 저장소 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저장소에 접근할 그룹 또는 유저 정보를 설정한 후 저장공간( trunk, branches, tags ) 을 생성하면 된다. 1. SVN 서버의 위치를 확인한다. 명령어 : ps -ef | grep svn ex) /home/svn 2. 해당 위치로 이동 후 저장소를 추가한다. 명령어 : svnadmin create --fs-type fsfs [저장소 이름] 3. 저장소 디렉토리 접근 후 파일들을 수정한다. 경로 :/home/svn/[저장소 이름]/conf 수정 파일 : authz, passwd, svnserve.conf authz, passwd 저장소에 접근할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4...

SVN 2022.11.11